중소벤처기업부는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7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연구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고, 후속 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는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는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R&D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제공하는 글로벌 트랙이 신설됐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될 전망이다.
상세 내용은 별도로 공고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총 102개로, 초격차 10대 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 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전략 분야의 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특화된 지원체계도 도입한다.
기존 24개 운영사 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하고, 향후 운영사 선정 시 전략 분야 특화 역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기존의 운영사 컨소시엄에도 변화를 유도해 기업의 다양한 지원수요에 대응한다.
역량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을 허용하고, 운영사에 대한 평가 및 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
또한 운영사별로 기업의 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코디네이터는 스케일업 팁스 R&D를 수행하는 기업이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 매니저(PM)의 역할에 더해 컨소시엄 간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R&D와 지분투자의 연계성도 강화한다.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투자를 받고 나면 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다.
올해부터는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고, R&D 수행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자금조달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R&D를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춰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지난 3년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총 379개 기업에 민관을 통틀어 1조5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그중 민간 운영사의 선행투자 규모는 약 5833억원에 달하며, 선정기업 중 111개사가 벤처캐피털 등으로부터 약 5567억원의 후속 투자 유치를 이뤄냈다.
스케일업 팁스 지원을 받은 기업 중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기업도 누적 9개사로, 혁신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활성화 효과와 성장 촉진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며, “스케일업 팁스와 같은 혁신적 R&D 지원모델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전략 분야 기술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