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지수가 71~84 정도인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돕는 사업이 부산에서 추진된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7일 알렸다.
7일부터 5월 6일까지 대상자를 모집한다.
이 사업은 청년재단과 협업으로 진행되며 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원장 유규원)이 수행기관이다.
이 기관들은 경계선지능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계선지능인이 사회에 원활하게 융화돼 살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이들의 사회생활 향상, 경제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은 ▲경계선지능인 진단검사 지원과 ▲경계선지능청년 자립 응원 사업(자립 교육, 일 경험 패키지 지원)으로 추진된다.
‘경계선지능인 진단검사 지원’은 교육청 미지원 아동·청소년 25명, 청년(18세~39세) 40명 총 65명을 대상으로 한다.
진단검사 비용 부담을 덜어줘 경계선지능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게 된다.
간이검사지를 활용한 선별검사를 지원하며 검사 후 진단·검사기관을 연계하고 실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경계선지능청년 자립 응원 사업’은 청년재단과 협업해 경계선지능청년의 자립능력 향상을 돕는 사업이다.
▲경계선지능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소양교육, 직무훈련, 컨설팅, 직장체험 등 자립교육을 3개월 실시하고, ▲자립교육 우수참여자 20명에게는 2개월의 ‘일 경험’을 제공해 이들의 직장 생활 적응을 돕는 현장 교육을 지원한다.
부산시는 경계선지능인의 자조모임을 지원해 서로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가를 통해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양육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부모교육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지원자는 부산사회서비스원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사회서비스원 경계선지능인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오는 5월 6일까지 목표 인원이 미달하면 추가 모집이 진행되며 선정 시 개별 연락해 교육 참여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다.
경계선지능인은 통상 지능지수가 71~84인 사람을 말하며, 지적장애인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해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반적인 취업 지원 시스템에서 제외되거나 지원이 부족해 자립적인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고립·은둔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부산시는 경계선지능인 실태조사를 실시해 실질적인 요구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한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이들이 자립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태기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경계선지능인들이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맞춤형 교육과 일 경험을 제공해 경계선지능인들의 자립을 지원하고 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하도록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