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일 "올해 벼 재배면적 감축 실적이 우수한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정부 지원사업에서 우대하겠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말했다.
회의에는 전국 16개 시·도 농정국장을 비롯해 쌀 생산자단체, (사)한국RPC협회, 농협경제지주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쌀 생산량을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에 목표 면적을 배분하고 전략작물 재배, 자율감축(휴경) 등 5가지 감축 유형을 설정했다.
유형별 목표를 보면 전략작물 전환이 3만45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율감축 3만3065㏊ △타작물 재배 6514㏊ △농지 이용 다각화 4018㏊ △친환경 인증 183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벼 재배면적을 감축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사업도 개편할 계획이다.
식량·농촌개발 등 지원사업 25개에 대해 재배면적 감축 실적을 평가 지표로 추가하고 실적이 우수한 곳은 우대하는 내용을 사업지침에 반영한다.
농식품부는 "올해도 벼 재배 면적이 줄어들지 않으면 초과생산에 따른 쌀값 하락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쌀 산업은 소비가 생산보다 가파르게 감소하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로 평년작 기준 매년 20만t 이상 쌀이 초과 생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박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말했다.
회의에는 전국 16개 시·도 농정국장을 비롯해 쌀 생산자단체, (사)한국RPC협회, 농협경제지주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쌀 생산량을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에 목표 면적을 배분하고 전략작물 재배, 자율감축(휴경) 등 5가지 감축 유형을 설정했다.
유형별 목표를 보면 전략작물 전환이 3만45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율감축 3만3065㏊ △타작물 재배 6514㏊ △농지 이용 다각화 4018㏊ △친환경 인증 183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벼 재배면적을 감축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사업도 개편할 계획이다.
식량·농촌개발 등 지원사업 25개에 대해 재배면적 감축 실적을 평가 지표로 추가하고 실적이 우수한 곳은 우대하는 내용을 사업지침에 반영한다.
농식품부는 "올해도 벼 재배 면적이 줄어들지 않으면 초과생산에 따른 쌀값 하락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쌀 산업은 소비가 생산보다 가파르게 감소하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로 평년작 기준 매년 20만t 이상 쌀이 초과 생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아주경제=권성진 기자 mark1312@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